>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신규 아파트 41곳 발암물질 '라돈' 검출
수도권 2개 아파트단지 라돈 농도 측정결과 건설사 측정치보다 2~4배 높게 나타나
 
아파트뉴스   기사입력  2023/10/30 [14:37]

 

  © 아파트뉴스


지난해 신축 아파트단지 41곳에서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라돈이 권고치 이상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신축 공동주택 라돈 측정 결과를 보면 한 가구에서라도 라돈이 권고기준을 넘게 측정된 단지는 41곳으로 나타났다.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따른 공동주택 실내 라돈 농도 권고기준은 1당 148베크렐(Bq)이하다.

 

라돈은 암석과 건축자재 등에 존재하는 자연 방사성 물질로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는 1급 발암물질로 분류된다.

 

지난해 라돈 측정이 이뤄진 신축 공동주택 가구 수는 총 1925가구로 이 가운데 7.5%에서 라돈이 권고기준을 초과해 측정됐다.

 

라돈 권고기준 초과 가구 비율은 재작년(13.6%)보다는 낮았지만, 2020(3.2%)이나 2019(3.6%)보단 높게 나타났다.

실내 라돈 농도는 48시간은 공간을 밀폐해 측정한 뒤 이후 24시간은 환기설비를 가동하며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노 의원은 건설사가 라돈을 제대로 측정하지 않는다고 의혹을 제기하면서 지방자치단체가 환경부에 보고한 자료를 분석해보니 환기 중일 때 라돈 농도가 밀폐된 상태일 때보다 높을 때도 있었다고 밝혔다.

 

또 의원실이 수도권 2개 아파트단지에서 라돈 농도를 측정한 결과 건설사 측정치보다 2~4배 높게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노 의원은 "공간을 제대로 밀폐하지 않거나 환풍기를 몰래 틀고 라돈 농도를 측정하기도 한다고 한다"라면서 "라돈 측정 가구 확대와 측정 원자료 보고 등 신뢰도를 높일 방안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이 병 우 기자

 

 

 

트위터 트위터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톡 카카오톡
기사입력: 2023/10/30 [14:37]   ⓒ hapt-news.net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 용
광고
광고
광고